성산패총
«큰 사과가 소리없이»의 두 번째 전시 장소인 성산패총은 1973년 11월 창원기계공업단지 조성 공사 당시 발견된 조개무덤입니다. 시각적으로는 공장지대가, 청각적으로는 공장의 소리가 스며드는 이 공간은 고대 사람들이 먹고 버렸던 조개껍질, 철을 만들던 작업장인 야철지, 삼국시대 성곽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공장을 만들기 위해 산을 깎아내던 순간 발견된 성산패총은 생산과 발굴의 이중적인 시간을 시사합니다. 동시에 삼한시대, 국가산단이 조성되는 1974년, 2024년 현재라는 다층적인 시간대를 지닌 하나의 공간으로 세웁니다.
«큰 사과가 소리없이»는 성산패총에서 시간의 더께에 따라 펼쳐진 조각의 수평성과 구석기와 미래를 잇는 산업의 변화를 야철지-성곽-전시관을 잇는 동선으로써 조망합니다. 비엔날레는 성산패총을 조각이 놓이는 자리로 결정함으로써 역사와 허구, 도시의 미래 계획과 아주 먼 과거의 화석이 동시에 진동하는 미세한 떨림을 ‘조각의 순간’으로 제시합니다. 해발 49미터의 언덕과 대나무숲을 지나 테라스를 넘어 조각의 시간성과 움직임을 가늠하길 바랍니다.
트랜스필드 스튜디오
정서영
홍승혜
미카엘라 베네딕토
박석원
최고은
창원복합문화센터 동남운동장
«큰 사과가 소리없이»의 세 번째 전시 장소인 창원복합문화센터(동남운동장)는 1980년 근로자들의 복지센터와 교육장 기능을 하기 위해 ‘새마을회관’이라는 이름으로 건립되었습니다. 본관, 동관, 서관(체육관), 관리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던 이곳은 근로자들의 합동결혼식과 라디오 공개 방송이 열리는 휴식과 돌봄의 장이었습니다. 1989년 동남전시장으로 개칭된 이후에는 대한민국산업디자인 전시가 열려 첨단 산업 발전을 한 눈에 관망하고자 하는 복합체(컨벤션 센터)가 되었습니다. 특히 동남운동장이라 불렸던 눈앞의 이 공터에서는 삼성테크윈 여직원 스피드 훈련, 국가산업단지 근로 가족 한마음 체육대회 등이 열렸습니다.
«큰 사과가 소리없이»는 공업 도시 창원의 다양한 움직임들이 새겨져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로 남아있습니다. 비엔날레는 구령대와 축구 골대, 향나무가 남아있는 이 공간을 조각의 이동과 공동체의 움직임이 발현하는 장소로 삼아 조각의 수평성과 공동체의 움직임을 바라봅니다. 우리는 과거 다양한 사람들의 몸이 움직이고 함성이 들렸던 이 공간에서 도시의 변화에 따라 재편되는 조각의 이동과 도시, 관객이 공존하는 미래의 존재 방식에 대해 질문합니다.
이유성
남화연
정현
탠저린 콜렉티브
조전환
창원시립 마산문신미술관
«큰 사과가 소리없이»의 네 번째 전시장소인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은 조각가 문신이 14년에 걸쳐 직접 일군 미술관입니다. 해운 통상의 중심지인 마산 앞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추산동의 미술관은 조각가 문신이 생활하던 집과 언덕의 무덤이 공존합니다. 조각뿐 아니라 드로잉, 실내외 건축을 통해 공간의 이상과 구현을 자신의 몸으로 직접 실천한 작가 문신은 개인 미술관을 공적 미술관으로 환원함으로써 개인의 이상과 공적 가치, 조각과 도시가 관계 맺는 하나의 모델을 보여주었습니다.
비엔날레는 바닥의 벽돌 문양과 문신의 대칭적 조각이 수평 수직으로 공존하는 문신미술관에서 그가 직접 설계한 실내 구조물인 나선형 계단이 놓인 전시실을 조각의 자리로 삼습니다. 이곳에서 우리는 인테리어(실내)와 익스테리어(실외), 조각과 건축, 개인의 삶과 공동체의 유산에 대해 기억합니다.
심정수
문신
크리스 로
권오상
정소영